Web Maker

UTM(Urchin Tracking Module) 파라메터란?

최근 Google 애널리틱스를 통한 데이터 분석을 그대로 이용하게 되면 Google에서 방문한 미디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URL에 추가하여 랜딩지점의 정보를 알려주는 문자열이 바로 「UTM 파라미터」 이다.

여기서는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UTM 파라메터(매개변수)에 대한 기본 지식과 사용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마케팅 도구 중 사용 빈도가 높은 Google 애널리틱스의 경우 기본 설정으로 네이버 광고에서 유입되더라도 'Direct' 또는 'Naver/organic'이 표시되며 네이버에서 자연 검색을 통해 유입된 것처럼 표시 된다.

이 경우 UTM 매개 변수를 설정하면 네이버 광고를 통한 유입등 특정 캠페인 또는 메체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UTM 매개변수를 활용하면 디지털 광고의 캠페인별/ 베너별 클릭당 단가와 수익 단가를 보다 객관적 수치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QR코드 등의 오프라인 유입 또는 메일메거진을 통한 유입도 계측할 수 있는 등 보다 세밀한 마케팅 분석이 가능하다. 그 결과 마케팅 정책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구글분석을 위한 UTM 파라메터 지정방법

목차

  • UTM 파라메터란?
  • UTM 파라메터의 구성
    • UTM Source(방문전 사이트, 또는 앱)
    • UTM Medium(방문 매체:메일, 베너등)
    • UTM Campaign(캠페인 종류)
    • UTM Content(광고 컨텐츠)
    • UTM Term(키워드)
  • UTM 파라메터 빌더

UTM 파라메터의 구성

UTM 파라메터(매개변수)는 URL의 끝에 추가하는 문자열이라고 설명했지만 정확하게는 '유입 소스 사이트', '유입 메체', '유입 소스 캠페인' 등 세분화하여 문자열을 추가해야 한다. UTM 파라미터의 종류로서는, 이하의 5개가 존재한다. 링크를 생성할때 마케팅별 대입가능한 적절한 항목에 설정하는 것이 좋다.

UTM Source(방문전 사이트, 또는 앱)

'utm_source'는 측정하려는 페이지의 유입 소스를 지정하는 매개변수로 '어떤 광고주 또는 사이트에서 방문한 사용자'인지 분석할 수 있다.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참조자(referer)'로 표시되는 항목이다. 유입원 정보를 알면 자사 사이트에 방문하는 사용자의 인사이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거나 중점을 두어야 할 프로모션을 정의할 수 있다.

입력값은 아래의 샘플에서 볼 수 있듯 표시하고싶은 적절한 값을 입력하면 된다.

사용 샘플

구글광고
utm_medium=google
뉴스레터
utm_medium=newsletter

UTM Medium(방문 매체:메일, 베너, QR코드등)

'utm_medium'은 "어떠한 캠페인 미디어를 통한 유입인가"에 대해서 지정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한 측정에서는 보다 높은 고객 유입률을 가진 캠페인을 파악하고 투자수익(ROI)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에 추천되는 설정 파라메터이다.

입력값은 아래의 샘플에서 볼 수 있듯 광고 미디어 값을 입력하면 된다.

사용 샘플

리스팅광고
utm_medium=cpc
베너광고
utm_medium=banner
메일메거진광고
utm_medium=email

UTM Campaign(캠페인 종류)

'utm_campaign은'은 측정할 해당 광고 캠페인을 지정하는 파라메터이다. 캠페인명이나 프로모션 코드 등 각 광고 캠페인을 인식가능한 명칭을 설정한다.

입력값은 아래의 샘플에서 볼 수 있듯 광고 명칭을 입력하면 된다.

사용 샘플

겨울세일광고
utm_campaign=winter_sale

UTM Content(광고 컨텐츠)

'utm_content'는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측정하는 광고 콘텐츠를 구별해야 할 때 사용하는 매개변수이다.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매개 변수는 필수 항목이므로 반드시 설정해야 하지만 utm_content는 선택 항목이기에 광고의 부가적인 분석을 위해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utm_conte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너 광고의 A/B 테스트 등 광고별 실적을 자세히 알고 싶은 경우 등이 있다. 그 때에는, 「pattern_a」,「pattern_b」등 내부 테스트에서 파악하기 편한 형태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떤 광고문이나 배너가 효과적인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삼을 수 있다.

그 외에도, Web 기사내에 LP로 랜딩시키기 위한 텍스트 링크나 배너 화상을 복수 패턴 작성하고 있을 때 그 효과 검증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샘플

A이미지 베너
utm_content=a_image
B이미지 베너
utm_content=b_image

UTM Term(키워드)

'utm_term'은 리스팅 광고를 운용할 때 측정 대상의 검색 키워드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utm_term"의 파라미터로, utm_content와 마찬가지로 임의 설정 항목이다. 주로 해당 상품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다.

사용 샘플

상품(쿠키)
utm_term=cookie

UTM 파라메터 빌더

웹사이트의 마케팅 결과 분석을 위해 utm 파라메터 자동 작성기를 활용해보자

UTM 파라메터 빌더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