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Maker

SEO란?

SEO(검색 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란, 웹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구글, 빙, 네이버등 각종 검색 엔진에서 높은 순위에 표시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직 간접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내가 만든 웹 컨텐츠가 다른 웹싸이트들보다 더 많이 검색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EO 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SEO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 그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SEO 기본대책

목차

  • SEO란?
  • 기본적인 SEO
    • 컨텐츠의 질
    • 링크
    • 키워드
    • 이미지, 동영상등
    • 웹사이트의 속도
    • 구체적인 확인내용들

기본적인 SEO

  • 컨텐츠의 질

    검색 엔진의 가치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찾아주는 역활을 한다. 검색하고자 하는 사람이 해당키워드를 넣고 가장 상단에 내가 필요한 양질의 정보가 올라온다면 검색하는 사람은 두세번 검색을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을 것이다. SEO의 다른 요령도 많이 있지만 컨텐츠의 질이 낮다면 결국 웹사이트의 평가는 떨어질 것이다. 이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유용하고 흥미로운 내용을 전해 줄 수 있는 양질을 컨텐츠야 말로 가장 훌륭하고 지속적인 SEO 전략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컨텐츠 제작자가 만드는 글, 사진, 또는 영상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거나 유익하다면, 검색 결과에서 상단에 나타날 확률이 높아진다.

  • 링크

    검색엔진이 해당 웹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가 좋은 컨텐츠를 담고 있다라고 평가하는 주요한 요소중 하나가 외부링크이다. 외부 링크가 있다는 말은 다른 사이트 제작자에게도 인정받고 있으며 그만큼 많이 알려졌다는 객괁적 재료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외부링크를 늘리는 것이 좋다. 외부링크를 늘리는 간단한 방법은 키워드 광고, 또는 디스플레이 광고이다. 하지만 광고는 지속적으로 금전적 지출이 발생하며, 광고를 내리는 순간 외부링크가 다 없어지게 되어 악영향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실제 다른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나의 링크가 달리기 위해선 다시한번 첫번째 항목에서 소개한 컨텐츠의 질이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 키워드

    검색엔진이 해당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에 나타내는 주요한 기준중 하나가 키워드이다. 메타테그의 키워드는 참조하지 않으므로 의미를 두지말자. 키워드는 해당 컨텐츠속에 자연스럽게 적혀져 있고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커피'라고 검색했을 경우 커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는 웹사이트쪽이 더 상위에 올라갈 확율이 높다. 이 역시 컨텐츠의 질과 관련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 이미지, 동영상등

    이미지, 동양상등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있다면 방문자에게 보다 높은 이해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이상의 이미지, 동영상등을 넣는것이 좋다.

  • 웹사이트의 속도

    웹사이트의 속도를 올리자. 웹 표준을 공부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저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가능한 사용하가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면 검색엔진 역시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웹사이트를 상단으로 올리게 한다.

  • 그외 구체적인 수정내용들

    웹사이트의 속도를 올리자. 웹 표준을 공부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저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가능한 사용하가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면 검색엔진 역시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웹사이트를 상단으로 올리게 한다.

    • 시멘틱한 Html 코드 구성이 되어 있는지 확인
    • 중요한 키워드와 문장에는 강조표시유저가 알기쉽게 표시
    • 적절한 페이지 타이틀과 메타데이터 설정
    • 상품, 인물, 블로그라면 적절한 LD+JSON 정의를 추가
    • 오탈자의 존재유무 확인
    • 이미지파일 사이즈를 경량으로 유지하기(AVIF,WebP)

Google Search Console, Google Analytics, Bing Webmaster Tool, Naver Search Advisor, Daum 검색등록등 필효한 검색엔진분석툴을 이용하여 수시로 내 웹사이트의 상황을 파악하고 보완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꾸준히 보완을 해 나가야 한다.